본문 바로가기

제약

자재 품질관리 (Packaging Material Qulity Control) 자재는 원료, 완제품과 같이 국가 공정서의 각조에서 품목별로 시험방법을 명시하고 있지 않으며 식약처에서 발행한 의약품 용기나 포장재 가이드에도 관리 허가나 생산 등 제조업에서 관리의 필요성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을 뿐 명확한 규정이나 기준 및 시험법이 없다. ​ 자재의 경우 아직까지는 기준 및 시험법에 대한 수준을 디테일하게 확인하여 지적을 하는 수준은 아닌 상황이다. 물론 언제든지 자재가 실사의 포커스가 될 수는 있지만 관리 감독을 강화하기 전 그에 따른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 부분은 차후에 생각해보아도 되겠다. ​ 자재의 경우 관리를 하고 있느냐가 주요 관점이기 때문에 근거로 활용할 만한 자료를 확보하여 시험항목 및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겠다. 여기서 근거자료로 가장 합당한 것은 .. 더보기
데이터 무결성 (Data integrity) 데이터가 수명주기(생성~소멸) 동안 완전하고 일관되며 정확하게 관리가 되어야 함을 뜻하며 데이터는 ALCOA+ 따라 아래와 같이 관리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. 쉽게 말하면 원본 데이터를 조작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관리, 추적, 감시하라는 말이며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여러 기관들이 정책을 가이드하고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. ​ Data integrity의 개념은 과거에도 있었지만 그 중요성은 비교적 최근 강조되고 있다. 2018년에 FDA는 가이던스 Final 버전을, PIC/S는 가이던스 Draft 3을 발표하였다. 이 외에도 여러 기관에서 Data integrity에 대한 가이드를 발표하였으며 기관별로 약간의 내용 차이는 있지만 중요하게 다루는 내용은 거의 동일하다. Attributable - 데이터의 생.. 더보기